컴퓨터 잡기/엑셀

내가 원하는 범위 내 개수 구하기[엑셀 COUNT함수]

일급444444달러 2024. 3. 25. 20:33
728x90
반응형

인사관련 업무에 필요한 COUNT함수

 

엑셀 COUNT함수는 근태나 연차 관리 업무에 유용한 함수다.

SUM함수를 사용해서 계산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것만으론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문자가 포함됐다면 SUM은 인식하지 않고 숫자의 합계만 표시한다.

 

엑셀 COUNT 함수

 

COUNT : 범위 내 숫자가 포함된 모든 셀을 계산

SUM함수와 가장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차이가 있다면 SUM은 숫자의 합계를 표시한다는 것이고, COUNT는 개수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를 예로 들면 SUM 8 X 11 = 88 / COUNT 1 X 11 = 11 로 이해하면 된다.

 

COUNTA : 범위 내 비어있지 않은 모든 셀을 계산

해당 함수는 범위 내 숫자나, 문자가 포함 된 모든 셀의 개수를 구한다.

그렇기에 표에서는 15로 계산되는 것이다.

구하고자 하는 범위 내 모든 셀의 개수를 구하고 싶다면 COUNTA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OUNTBLACK  : 범위 내 비어있는 셀을 계산

COUNTA와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COUNTIF : 지정된 범위 내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

엑셀에서 많이 쓰이는 IF함수와 COUNT함수가 합쳐졌다.

범위내 찾고 싶은 값을 입력하면 그 값의 개수를 구해주는 함수다.

표를 예시로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COUNTIF(E9:S9[개수 계산할 셀 범위], "휴"[범위 내 찾으려는 값])

 

COUNTIF, COUNTIFS 함수는 해당 용도 외에도 활용법이 많으니 궁금하면 찾아보자.

 

 

 

 

 

728x90
반응형